저출산 6

한국 재정 경쟁력 40위로 추락

韓 재정 경쟁력 40위로 추락 IMD, 64개국 국가경쟁력 평가 2023년 국가경쟁력(스위스) 평가에서 22년보다 한 단계 떨어진 28위 기록 국가경쟁력 => 20-21년 23위 / 22년 27위로 하락 / 23년 28위로 하락 경제성과 부문 => 22년 22위 / 23년 14위로 상승 국내경제 / 고용 / 물가 부문 개선 정부효율성 / 재정 / 기업여건 하락 일반정부 부채 실질 증가율 34->56위 급락 방만재정이 국가경쟁력 갉아먹어, 인구쇼크/3대개혁 부진도 원인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2023년 국제경쟁력 평가 발표 1위 덴마크 → 아일랜드 → 스위스 → 싱가포르 → 네덜란드 순 아시아에서 싱가포르가 4위로 가장 높음 / 대만6위/홍콩7위/ 중국21위 / 일본35위 미국 10위 한국 2..

주식/경제뉴스 2023.06.21

소아과 '도미노 붕괴' 시작

소아과 '도미노 붕괴' 시작, 서울 대형병원도 밤 10시면 환자 안 받아 내년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207명 필요한데 지원자 33명뿐 전국 소아 진료 대란 불보듯 15.9% => 내년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필요인원 207명 / 지원자 33명) 가천대 길병원, 소아 입원진료 멈추기로 결정 [올해 170여명 떠나는데 지원은 33명뿐] 소아청소년과 레지던트 4년차는 170여명 레지던트 4년차 지원자는 33명뿐 전국 병원의 소아과 소속 의사가 140명 줄어든다는 의미 내년 3월(레지던트4년차 떠나는시기) 되면, 의료기관에서 소아진료대란이 벌어질것이란 전망 [외래진료 보는 교수까지 당직] 늦은 밤 아이들 응급실 줄어드는 상황 강남세브란스병원 밤 10시 이후 소아 청소년환자(만16세미만) 환자 안받고 ..

주식/경제뉴스 2022.12.13

2분기 연속 출산율 0.7명대 / 서울 0.59명 '쇼크'

1-3분기 출생 20만명 미만 '최초' 1.3명부터 초저출산 국가 / 한국은 초저출산 단어도 사치 사망자는 전년보다 10%늘어 3분기 혼인 건수, 4면 만에 증가 2분기 0.75명 → 3분기 0.79명 집계로 사상 처음 2개분기 연속 0.7명대 출산율 기록 3분기 출생아 수 6만 4085명 / 작년 같은 분기에 비해 3.7% 감소 월별 출생아 수 비교 7월 2만 441명 8월 2만 1758명 9월 2만 1885명 1-9월 누적 출생아 수는 19만 2223명 / 작년동기대비 5.2% 감소 1-3분기 출생아 수가 20만명 미만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 1.3명부터는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 → 출생아 수가 적어 인구 감소를 걱정해야하는 단계 한국은 2002년부터 1.3명 아래로 떨어져 초저출산국이 된 지 오래..

주식/경제뉴스 2022.11.24

KDI 경고 "한국, 2050년 성장 멈춘다"

KDI 경고 "한국, 구조개혁 안하면 2050년 성장 멈춘다" 저출산.고령화로 생산인구 줄어 2050년 노인비중 40% 넘을 듯 28년 후 마이너스 성장할수도 "외국인력 노동공급 늘리고, 민간부문 활력 강화방안 모색" 급속한 고령화로 한국 경제 성장이 28년 후 멈추거나 마이너스 성장 할 수 있다는 경고 한국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2011-2019년 수준 0.7% 유지 될 경우 장기경제성장률 2023년 1.7% → 2050년 0% 하락 예상 연평균 경제성장률 2023-2030년 1.5% 연평균 경제성장률 2031-2040년 0.9% 연평균 경제성장률 2041-2050년 0.2% 낮아질 것 이유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및 고령화 생산연령인구 비중 : 2020년 72.1% → 2050년 51.1% 하락 고령..

주식/경제뉴스 2022.11.09

일본 출산율 반등 / 한국 저출산 악몽

日, 출산율 반등 - 韓, 저출산 악몽 [일본 저출산] 오랜 기간 저출산 고령화로 심각한 사회문제를 겪고 있는 나라 인구가 줄어든 첫 번째 국가(전쟁 요인 제외) 2010년 1억 2813만 명 → 2011년 1억 2808만 명으로 감소 / 2011년부터 인구 감소 시작 11년 연속 인구가 줄음(2011-2021년) 일본경제가 30년간 제자리걸음 한 이유 중 하나 => 인구 정체 및 감소 1975년 2.0명→1980년후반 1.5명→2005년1.26명→2015년1.45명→2060년1.5명예상 [한국 저출산]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추락 중 2000년1.48명→2018년0.98명 / 세계에서 처음으로 1명을 밑돌음 2021년 0.81명 → 2022년 2분기 0.75명 추락 [이유] 일본은 저..

주식/경제뉴스 2022.11.08

한국경제 매일읽기_2022.10.06

집값 급락 '2금융권 위기'로 번지나 금융권 부동산담보대출 건전성에 적신호=>경매 낙찰가율이 80% 밑으로하락 경기도 아파트 낙찰가율 79.4% => 80%이하는 9년만 처음 낙찰가율 매달 하락 추세 : 대전(69.4%), 대구(79.5%), 부산(78.9%) 전국경매 물건 2배 이상 증가 부동산 경기 침체 → 2금융권 부실 → 금융권 전체로 전이 우려 금융권에서 낙찰가율은 곧 원리금 회수 가능성을 의미 낙찰가율이 LTV이하로 떠어지면 원리금 연체 발생 시, 담보 처분해도 손실발생(LTV80%) OPEC+ "하루 200만 배럴 감산" 오펙 하루 200만 배럴 원유 감산 결정 왜?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하는 유가 떠받치기 위한 조치 부작용 : 진정세 보이던 유가가 다시 치솟아 인플레이션 압력 높일 것 22..

주식/경제뉴스 2022.10.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