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7

Fed 7월 기준금리 인상, 9월 인상도 동결도 가능!

미국 2분기 GDP 2.4% '깜짝 성장' Fed, 7/26일 기준금리 0.25% 인상 미국 경제성장률 시장예상치(1.8-2%) 웃도는 2.4% 기록 => 경기침체 가능성 낮아짐 기준금리 : 5~5.25% → 5.25~5.5% 로 인상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인상 이유 경제활동은 완만한 속도로 확장 +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음 미국 6월 CPI 3.0% => 물가상승률 목표치 2%에는 못미치는 수준 기준금리 23년 09월에 다시 올릴 수도 있음을 열어놓음 / 데이터 보고 결정할 일! 한 / 미, 양국간 기준금리 격차 더 커진상태 → 자본유출 우려 파월 "9월, 인상도 동결도 가능" / 시장 "아직 긴축 터널" Fed의 '전략적 모호성' Fed, 긴축행보 재개 : 인플레이션 위험성 여전 + 불확실..

주식/경제뉴스 2023.07.28

더 독해진 Fed 인사, 금리 인하는 24년에 가능

더 독해진 Fed 인사들의 '입' "금리 인하는 2024년에나 가능" 미국 중앙은행(Fed) 3인자 발언 [존 윌리엄스] : 뉴욕 연은 총재 기준금리를 인상해 적어도 내년까지는 제한적인 수준 유지 2024년에 금리를 낮추기 시작할 것 최근 공급망개선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압력 여전함 [제임스 블러드] :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FOMC가 인플레이션 억제하기 위해 내년에 더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할 위험을 과소평가 기준금리를 연5%보다 더 높여야 할 위험이 존재 [로레타 메스터]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금리인상을 너무 일찍 중단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든다 Fed는 아직 금리 인상 동결 근처에도 못감 세계 각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커짐 채권시장, 경기침체 전조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 발생

주식/경제뉴스 2022.12.01

美, 내달 금리 0.5% 올릴 듯, 캐나다. 호주도 속도 늦춘다

4 연속 자이언트스텝 밟은 Fed 내년 경기침에 가능성 언급하며 다수 위원 "속도 늦출 필요 있어" 미국 외 다른 나라도 긴축 완화(노르웨이/캐나다/호주) [속도조절 시사한 Fed] 11월 FOMC 의사록 "대다수 참석자가 기준금리를 늦추는 게 적절한 것으로 판단" 파월 의장 "다음이나 그다음 회의에서 금리 속도 조절 생각" Fed가 다음달엔 금리인상폭을 50bp 결정할 것으로 예상 누적된 긴축정책 효과가 경제, 물가에 어떤 영향 미치는지 평가 위해 속도 늦추자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 시, 금융시스템에 리스크 올 수도 + 경기침체 [노르웨이. 캐나다. 호주도 숨 고르기] 다른 나라들도 긴축 속도 늦추는 중 => 금리인상 부작용 줄이기 위해서 노르웨이 22.06-09월까지 기준금리 세 차례 0.5% 올림 1..

주식/경제뉴스 2022.11.25

한국경제 매일읽기_2022.11.03

소비자물가, 또 치솟았다. 22년 7월 물가 정점론 : 7월 6.3% → 8,9,10월 연속 5%대 기록 정부, 한국은행 당분간 5%대 고물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음. 한국은행 목표 물가 2%대 이지만 이보다 높은 물가 수준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봄 왜 고물가 지속 이유?? 물가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제외)가 불안 10월 근원물가 1년전보다 4.8% 상승 / 13년 8개월만 최고치 급락할 가능성은 낮고 오히려 상황에 따라선 다시 오름세 보일 가능성도 있음. 5%대 물가의 한은 입장은 기준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뜻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이상이면, 통화정책 보다 물가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음 금리 지속 상승 → 경기침체 가속화 → 한국경제 부담 한은, 경기하강위험도 지적(국내외 경기 하방압력 증대)..

주식/경제뉴스 2022.11.03

위기는 늘 기회, 하락장 사야될 종목 by 재파

다가오는 경기침체에 누군가는 또 부자가 됩니다. / 22.10.26 1955년 - 지금까지 13번의 금리인상 있었고 그 중에서 10번의 경기침체를 불러왔음 / 확률 80% 최근 금리인상 → 경기침체 오지 않을까? 경기침체가 어느정도 후에 왔는지, 기간은 얼마나 됐는지 알아보자. [금리인상 VS 경기침체 상황 비교] 1955-1957년 금리인상 → 경기침체 발생 총 13번의 금리인상 기간이 있었고, 금리를 올렸는데 경기침체 안 온적이 3번 있었음(노란동그라미) 1960년대 후반 / 1980년 초반 / 1990년대 초반 나머지 10번은 경기침체가 왔었음 확률상 따지면 금리인상이 경기침체를 불러옴을 알 수 있음. 코로나 때(2020년)는 경기침체가 왔으나 빠른 반등으로 엄청 짧게 지나갔음. 코스피 2200→1..

美 기준금리 더 올리면 개도국 치명상

유엔 산하 UNCTAD경고 : Fed가 금리 1% 인상 → 개도국 성장률 0.8% 내려가 유엔무역개발회의가 세계 각국 중앙은행에 기준금리 계속 인상 시, 글로벌 경기침체가 올 수 있음을 경고! 개도국은 공공과 민간부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것 Fed가 1% 포인트 인상하면, 3년간 선진국 경제 상승률은 0.5% 감소 개도국 경제상승률은 0.8% 감소 올해 Fed가 올린 금리 인상분 3% → 향후 개도국 경제 생산 3600억달러(약515조원) 감소하는 여파 예상 UNCTAD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 : 기존2.6% → 2.5% 낮춤 / 내년 2.2% 더 낮춤

주식/경제뉴스 2022.10.05

중앙은행들의 엇갈린 행보 "시장 혼란"

중앙은행들 '엇박자 정책' 인플레→금리인상→수요침체→경기악화→통화완화? 저금리 유지하는 일본 / 환율방어 위해 외환시장 개입 미국의 긴축 ‘마이웨이’ Fed의 기준금리 잇따라 연상으로 필요 이상의 경기 둔화를 유발하는 우려 확산 Fed 통화정책 경제 구석구석까지 영향 미치려면 시간이 걸림 미국경제가 현재 꽤 탄력적으로 버텼지만 수요 냉각의 징후가 보이기 시작 ex)아이폰14증산 철회 Fed가 연말까지 1.25% 추가적으로 금리 올려야된다는 의견도 있음 Fed는 강도 높은 양적긴축을 하지 못하고 있음 기존 긴축 : 주택담보부증권(MBS)규모를 매달 475억 달러 줄이기로 했음. 실제로는 한도의 절반 정도만 매각 중 (한번에 하면 미국채 금리 상승세 기름을 부을 수 있기 때문에) 각국 ‘갈지자’ 정책 잇따라..

주식/경제뉴스 2022.09.30
반응형